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순우리말 ' 둥치','아름' 그리고 '몽치', '간치' ★둥치 '큰 나무의 밑동' ★둥치='줄기'의 방언.(경남, 충북) ★(밑동) the base of a tree trunk ---솟을대문 앞에는 둥치가 아름은 되는 느티나무가 그늘을 드리우고 있었다. ★둥치='둥주리'의 북한어. ★둥주리=짚으로 크고 두껍게 엮은 둥우리. 예전에, 추울 때 사람이 들어 앉아 망을 보거나 말 등에 얹고 그 안에 들어 앉아 말을 타고 가는데 썼다. ★둥주리= '둥우리' 의 방언( 경남, 함경, 황해, 경기) ★아름=두 팔을 둥글게 모아서 만든 둘레. 또출네는 하늘과 땅을, 온 세상의 초목과 강물을 아름 속으로 품어 넣듯 두 팔을 활짝 벌리어... [출처= ] ★ 아름= 둘레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 ---두 아름 가까이 되는 느티나무. ★아름=(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 더보기
순우리말 '되작이다 '의 뜻 ★되작이다= "물건들을 요리조리 들추며 뒤지다"를 뜻하는 순우리말. ★예문★ 조심조심 편지를 꺼내어 몇 번이고 앞뒤로 되작이며 되읽었다. ★영어= rummage, browse ★★ 되착이다=물건들을 요리조리 들추며 자꾸 뒤지다. '되작이다' 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데작이다='되작이다' 의 방언. (경남) [출처=네이버 검색과 나] 더보기
순우리말 뿌다구니= 빙산의 일각 뿌다구니 =물체의 삐죽하게 내민 부분. =사물의 솟아난 부분. =빙산의 일각. =길 가운데 툭 튀어나온 돌멩이처럼 사물의 몸체는 어딘가에 묻혀 있고, 한 부분만 뾰족히 솟아난 것. ="빙산( 氷얼음 빙/山뫼 산)의 일각(一한 일/角뿔 각) "과 같은 뜻. = 어떤 사건의 전모가 드러나지 않고 극히 일부의 사실만 밝혀진 경우에도 ' 뿌다구니에 지나지 않는다'고 표현 가능. ★예문★ ★한참 생각에 팔려 걷던 나는 땅 위로 불쑥 솟은 뿌다구니에 걸려 넘어지고 말았다. 정신차려 걸읍시다! ★지금 검찰의 발표 내용은 그 사건의 뿌다구니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말 써본 적도 들은 적도 없네요. 참 신기한 순우리말. [출처=네이버 검색, 어학사전 그리고 나] 더보기
카프레제 Caprese에 대하여♥ 카프레제 Caprese에 대하여♥ Insalata Alla Caprese인살라타 알라 카프레제 상큼한 토마토(빨강색), 부드러운 모짜렐라 치즈(흰색), 지중해의 향긋한 바질(녹색)을 넣어 만든 이탈리아 남부 나폴리 만에 위치한 카프리(capri)섬의 색과 맛의 조화가 뛰어난 여름철 샐러드 요리. 이탈리아 국기 색깔과 같아서 '인살라타 트리콜로레(insalata tricolore)' 라고 불리는데, 이는 "세 가지 색의 샐러드"라는 뜻. '카프레제' 라고 줄여 말한다. 이탈리아 코스 요리에서 샐러드는 '콘토르노(contorno)'라 하여 두 번째 메인 요리인 세컨도피아토(second piato)에 사이드디쉬(side dish)로 곁들여 먹는다. 하지만 인살라타 알라 카프레제는 전채요리인 안티파스토(anti.. 더보기
What is the blog? 블로그의 유래, 의미, 역사. blog=web+log ★★★블로그Blog의 유래★★★ ★BLOG 란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자유롭게 글(칼럼•일기•취재 기사 등)을 올릴 수 있는 웹사이트 ★블로그blog=웹web+ 항해일지log 블로그는 합성어이자 신조어. ★웹사이트 주인인 블로거blogger가 발행인이자 편집국장이고 기자이기도 한 인터넷상의 일인언론사. 1997년 미국에서 처음 등장. 새로 올리는 글이 맨 위로 올라가는 일지 형식으로 되어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게시판 형식의 사이트에 자신의 일상적인 일기에서부터 사회적인 이슈에까지 개인이 자유롭게 글과 사진,동영상 등을 올려 디지털 논객 온라인 저널리스트로서 미디어 커뮤니티를 이끌어 간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