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특하다.
1.두 대상이나 물체 사이가 조금 가깝다.
2.시간이나 길이가 조금 짧다.
3.국물이 조금 적어 묽지 아니하다.
시간이 너무 바특하다.
국이 바특하다.
★톱톱하다
1. 국물이 묽지 아니하고 바특하다.
2. 알속이 있다.
3.식구나 기구 성원 따위가 많지도 적지도 아니하고 알맞다.
★툽툽하다=국물이 묽지 아니하고 매우 바특하다.
★밧드다=' 바특하다'의 방언.(제주)
★뽀독허다=' 바특하다'의 방언.(전남)
★私慝=남에게 알려지지 않은 나쁜 일. 또는 숨기고 있는 비행非行이나 악행惡行.
★사특邪慝하다=
요사스럽고 간특하다.
만약 오늘 저자를 목 베어 그 죄를 천하에 밝히지 않으면 뒷날 저와 같은 사특한 무리가 줄을 이을 것이다. <<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성격이 편녕하고 용심用心이 사특하여 사람들이 모두 가볍고 천하게 여겼다. <<번역 중종실록>>
너희들을 사특한 것에 물든 자들로서 동학을 금하지 말 것을 요구하니 이것은 그만큼 기강이 해이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일이다.<<송기숙, 녹두 장군>>
이놈이 뉘 앞에서 사특한 잔꾀로 언구럭을 부리느냐!
★언구럭=교묘한 말로 남을 농락하는 짓.
★검특(黔검을 검/ 慝사특할 특)하다.
음흉하고 간사하다.
검측스럽다.
[출처=네이버 검색]